희수의 용기
제게 기회를 주십시오.
저는 대한민국 군인입니다.
“저는 인권친화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군에서 저를 포함해 모든 성소수자 군인들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에서 각자 임무와 사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제가 그 훌륭한 선례로 남고 싶습니다. 저는 미약한 한 개인이겠으나 힘을 보태어 이 변화에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의 성별 정체성을 떠나 제가 이 나라를 지키는 훌륭한 군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모두에게 보여주고 싶습니다. 제게 그 기회를 주십시오. 저는 대한민국 군인입니다.”
2020년 1월 22일 기자회견 중 변희수 하사의 발언
2019년
10월 14일 | 육군 5기갑여단, 변희수 하사 성확정수술 목적 국외여행 승인 |
12월 20일 | 성확정 수술 후 귀국 |
2020년
1월 10일 | 육군본부, 변희수 하사에게 전역심사위원회 개최 통보 |
1월 21일 | 국가인권위원회, 변희수 하사 긴급구제 결정 긴급구제 통지문 |
국가인권위원회는 육군본부에 전역심사 3개월 연기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1월 22일 | 변희수 하사 강제전역 처분에 따른 긴급 기자회견 기자회견문 |
변희수 하사는 육군본부 전역심사위원회의 강제 전역 결정에 맞서
커밍아웃한 최초의 트랜스젠더 군인이 되어 기자회견을 열고 군 복무 의지를 밝혔습니다.
2월 10일 | 청주지방법원, 변희수 하사 성별등록부정정 결정 (성별정정) |
2월 18일 | 변희수 하사 육군본부 인사소청위원회에 전역처분 취소 인사소청 제기 |
6월 29일 | 육군본부 인사소청위원회, 인사소청 기각 결정 인사소청 기각 결정 규탄 성명 |
8월 11일 | 전역처분 취소 소송 제기 육군 참모총장을 상대로 전역처분 취소 행정소송 제기 |
12월 14일 | 국가인권위원회, 변희수 하사 전역 처분 취소 권고 |
국가인권위원회는 전원위원회 회의를 통해 변희수 하사에 대한 육군의 강제 전역 처분이
인권침해에 해당한다고 인정하고 육군참모총장에 전역 처분을 취소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2021년
2월 27일 | 변희수 하사, 하늘의 별이 되다. ✨ |
3월 15일 | ‘변희수 하사의 복직과 명예회복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활동계획 및 복직소송 진행계획 발표 기자회견 개최 |
3월 27일 | ‘트랜스젠더는 당신 곁에 있다’ 변희수 하사를 기억하며 -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 공동행동 기자회견 |
4월 9일 | 법원의 변희수 하사 복직 소송 수계 신청 인용을 촉구하는 시민 탄원 운동 개시 |
4월 15일 | 변희수 하사 전역 처분 취소 소송 1차 변론기일 (대전지방법원 시민 방청) |
5월 13일 | 변희수 하사 전역 처분 취소 소송 2차 변론기일 (대전지방법원 시민 방청) |
7월 1일 | 변희수 하사 전역 처분 취소 소송 3차 변론기일 (4,212명 시민탄원서 제출) |
8월 18일 | 변희수 하사 전역 처분 취소 소송 3차 변론기일 (4,212명 시민탄원서 제출) |
10월 7일 | 행정소송 1심 승소 판결문 |
대전지법 행정2부는 전역 처분을 위법으로 판결, 사법부 최초로 트랜스젠더 군인의 복무 권리를 인정하였습니다.
10월 19일 | 법원의 변희수 하사 강제 전역 취소결정에 대한 육군의 항소포기 촉구 인권·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 |
10월 20일 | ‘법무부, 故변희수 전역취소 판결 항소 포기 결정 |
‘변희수 하사의 복직과 명예회복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활동계획 및 복직소송 진행계획 발표 기자회견
‘변희수 하사의 복직과 명예회복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활동계획 및 복직소송 진행계획 발표 기자회견
행정소송 2차 공판 기일
행정소송 2차 공판 기일
행정소송 3차 공판 기일
행정소송 3차 공판 기일
행정소송 3차 공판 기일
행정소송 3차 공판 기일
2022년
2월 16일 | 변희수 하사 1주기 토론회, <변희수 하사 전역처분취소소송 판결의 의미와 과제> 개최 |
2월 27일 | 변희수 하사 1주기 추모문화제 <변희수 하사를 기억합니다, 함께합니다> 개최 (신촌 유플렉스 광장) |
12월 1일 | 육군 전공사상심사위원회 ‘순직 비해당’(일반사망) 결정 |
12월 13일 | 국가인권위원회 순직 불인정 처분에 대한 진정서 제출 |
1주기 토론회
1주기 토론회
변희수하사 1주기 추모제
변희수하사 1주기 추모제
변희수하사 1주기 추모제
변희수하사 1주기 추모제
2023년
1월 31일 | 국가인권위원회 순직 재심사 권고 결정문 |
2월 27일 | 변희수 하사 2주기 추모제, ‘멈추지 않을 꿈, 우리가 이어갈 용기’ 개최 (종로 보신각) 故 변희수 하사 유가족, 국방부 중앙전공사상심사위원회 순직 재심사 신청 |
2024년
2월 26일 | <변희수 하사의 복직과 명예회복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해소, ‘더 넓은 꿈으로 이어갈 변희수의 용기’ 기자회견 개최 |
2월 27일 | 변희수 하사 3주기 추모의밤, 변희수재단 비전발표 ‘우리가 만들 변희수의 내일’ 개최 (오펠리스 서소문) |
3월 29일 | 故 변희수 하사 순직 인정 결정 |
국방부 중앙전공사상심사위원회는 故 변희수 하사의 ‘공무상 순직’을 인정하였고,
“성별 정체성을 이유로 받은 차별과 좌절이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판단하였습니다.
국가보훈처는 국립대전현충원 안장을 결정하였습니다.
6월 23일 | 변희수 하사 순직 결정 및 대전현충원 이장 시민 추모대회 (용산역광장) |
6월 24일 | 국립대전현충원 안장 |
변희수 하사는 2024년 6월 24일, 국립대전현충원 충혼당에서 안장식을 거행한 후 봉안동에 안치되었습니다.
이는 트랜스젠더 군인으로서 최초의 국립현충원 안장이며, 그녀의 삶과 투쟁이 국가의 공식 기록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변희수 하사 2주기 추모제
변희수 하사 2주기 추모제
변희수 하사 3주기
변희수 하사 3주기
변희수 하사 안장식
변희수 하사 안장식
변희수 하사 추모대회
변희수 하사 추모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