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정체성을 존중받는 삶,
평등한 일상

우리는 성별정체성이 존중받는 사회, 그 누구도 ‘숨지 않아도 되는 일상’을 함께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변희수 재단은 故 변희수 하사를 추모하고 기억하며 트렌스젠더의 삶을 지원하고 커뮤니티를 확대합니다. 트렌스젠더의 평등한 일상을 만들어 갑니다.

트랜스젠더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

Social support

지속가능한
추모 공간 구축

Memorial Space

트랜스젠더
가시화 인식개선

Visibility

트랜스젠더
역량강화 지원

Empowerment

변희수재단의 시작

故 변희수 하사의 부당한 강제 전역과 안타까운 죽음은 한국 사회에서 트랜스젠더가 경험하는 사회적 차별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故 변희수 하사를 지원했던 군인권센터와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은 노동, 교육, 의료 등 모든 영역에서 평범한 일상을 누리지 못하는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들을 지원함으로써 성별정체성이 존중받고 인권이 보장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변희수재단 설립의 뜻을 모았습니다.

사단법인 설립 대응

국가인권위원회(주무관청)에 법인 설립 신청 서류를 제출한지 1년이 지났습니다.「민법」 제32조, 「국가인권위원회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 제4조에 따르면 비영리 단체는 사단 또는 재단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어 법인으로 할 수 있고, 국가인권위원회는 허가 신청을 검토한 후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20일 이내에 이를 심사하여 허가 또는 불허가의 처분을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국가인권위원회는 상임위원회 회의에 법인 설립 허가 안건을 '다섯 번' 상정하고 반려했을 뿐, 아직까지 법인 허가를 의결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제는 신임 상임위원이 임명되기 전까지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이는 관련 규칙을 위반한 것뿐만 아니라,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결사의 자유를 침해한 것입니다.

변희수재단은 국가인권위원회의 명백한 차별에 맞서 끝까지 싸울 것입니다. 사단법인 설립마저 쉽지 않은 현실이지만, 성소수자 인권이 후퇴되지 않도록 트랜스젠더 지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 나가겠습니다.


  • 2024년 5월 7일 담당부서(행정법무담당관)에 법인 설립 신청 서류 제출 
  • 2024년 8월 7일 담당부서로부터 서류 검토 완료 통보 
  • 2024년 12월 2일 국가인권위원회 정보공개청구 (법인 설립 관련 서류 전체에 대해 비공개 결정 통지) 
  • 2024년 12월 9일 국가인권위원회 정보공개청구 이의신청 (각하) 
  • 2025년 2월 3일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서 제출 
  • 2025년 2월 12일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의 변희수재단 법인 설립 방해 행정소송 제기 
  • 2025년 2월 20일 제5차 상임위원회 안건 상정 (반려 및 재상정 결정)
    변희수재단 준비위원회 규탄 입장 발표   
  • 2025년 3월 6일 제6차 상임위원회 안건 재상정
    안건 처리하지 않고 김용원 위원 퇴장
    변희수재단 준비위원회 규탄 입장 발표      
  • 2025년 3월 20일 제7차 상임위원회 안건 재상정 (반려 및 재상정 결정)
    2025년 사업계획서 및 재산출연 승낙서 질의에 대한 답변서 제출 
  • 2025년 3월 27일 제8차 상임위원회 안건 재상정 (반려 및 재상정 결정)
    변희수재단 준비위원회 규탄 입장 발표   
  • 2025년 4월 17일 제10차 상임위원회 안건 재상정 (안건 미처리)
  • 이후 현재까지 상임위원회 안건 상정과 의결 처리가 되지 않고 있음.

변희수재단 준비위원회 

Byun Huisu Foundation 

공동대표 : 임태훈, 정민석 

운영위원장 : 이은실 

주소: (우: 04057)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4길 20 (노고산동 54-64) 태인빌딩 4층 

전화: 02-323-0227

이메일: bhsf0227@gmail.com